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성격 및 정서

by 클릭히트 2022. 9. 24.
반응형

객관적 성격검사

객관적인 성격검사란 정해진 절차에 따라 검사가 실시되며, 각 검사 문항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이 명확한 채점 방식에 의해 점수화되고, 이를 규준 집단 점수와 비교하여 그 측정 치상에서 피검자가 속하는 위치를 객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검사를
의미합니다. 객관식 검사에서 피검자는 주어진 질문에 대해 '예' '아니요'와 같은 이분 척도로, 혹은 '1'에서 '3' 점까지의 리커트 척도 등 수치화된 형태로 응답할 것이 요구됩니다. 이런 검사 절차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평가자의 영향이 개입될 가능성이 적고, 표준화 규준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객관적인 수치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성격이라는 복잡하고도 다중적인 특성을 지나치게 단순화한 수치로서 평가한다는 점, 같은 질문에 대해서도 피검자에 따라 다른 해석을 하고 그에 따라 응답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무작위 응답, 긍정 왜곡 및 부정 왜곡의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객관적 성격검사인 다면적 인성검사를 먼저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다면적 인성검사 MMPI는 1943년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의 해서웨이와 맥킨리에 의해 처음 개발된 이래 신뢰도, 타당도 및 활용 가능한 영역 등에 관한 연구가 끊임없이 축적되고 있고, 임상 장면에서 꾸준히 활용되면서 그 유용성이 검증된 검사입니다. 


MMPI는 처음에 정신과 환자들의 진단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습니다. MMPI가 개발될 당시의 검사 제작은 대체로 이론 및 가설에 따라 문항을 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는 이론 주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MMPI는 환자의 분류와 진단이라는 명확한 목표를 위해 이전에 출판된 성격검사, 사례 연구, 임상 경험에서 수집된 수많은 예비 문항 중에서 특정 환자군이 어떤 문항에 '예' 또는 '아니요'라고 대답하는지를 조사하는 경험 주도적 제작 방식을 사용하였습니다. 예를 들면, '확실히 내 팔자는 나쁘다.'라는 문항은 언뜻 보기에는 어떤 장애를 감별하기 위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만약 정신
분열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이 '예'라고 응답하고 정상 집단은 그렇지 않다면 이 문항은 정신분열증을 변별하기 위한 문항으로 채택되는 방식입니다.

 

초기에 개발된 MMPI는 네 개의 타당도 척도와 열 개의 임상척도로 이루어져 있었고, 각각의 임상 척도는 진단하고자 했던 정신장애 집단의 명칭에 준하여 제작되었습니다. 1번 척도는 건강염려증, 2번 척도는 우울증, 3번 척도는 히스테리 , 4번 척도는 반사회성, 6번 척도는 편집증, 7번 척도는 강박증, 8번 척도는 정신분열증, 9번 척도는 경조증 환자 집단을 기준 집단으로 하였고, 5번 척도인 남성성-여성성과 0번 척도인 사회적 내향성 척도가 이후에 추가되었습니다. 개인의 반응은 각 척도 별로 연령별이나 성별 규준에 입각하여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T-점수로 환산됩니다. 일반적으로 각 임상 척도에서 70T 이상일 때 정상 범위를 벗어난,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해석됩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MMPI의 표준화 집단이 미국인 전체를 대표하지 못하고, 백인이나 높은 학력 수준을 가진 사람에 한정되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고, 시대에 맞지 않는 문장, 성차별적인 용어 사용, 임상 척도 간의 높은 상관 등이 문제가 돼
어 MMPI는 1989년 MMPI-2로 개정되었습니다. 개정 당시에도 MMPI는 연구 및 임상 장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어 MMPI를 사용하여 출판된 연구 수가 10,000편을 넘었습니다. 기존 척도를 만든 정신장애 집단을 변경하거나, 척도를 대폭 수정하거나 삭제하는 것은 축적된 연구 자료를 더 이상 적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을 초래하기 때문에, MMPI-2 역시 네 개의 타당도 척도, 열 개의 임상 척도를 그대로 유지한 채 동시대 표집에서 재 표준화하였습니다. 대신 시대에 맞지 않는 문항

을 삭제하고, 문구를 조금씩 수정하고, 다섯 개의 타당도 척도를 더 추가하고, 내용 척도를 개정하였으며, 성격 병리 척도 등을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기존 MMPI가 척도 간의 상관이 높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재구성 임상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이 척도에서는 공통 요인을 추출하여 척도 간 상관을 줄이고, 고유의 특성만을 갖도록 임상 척도를 재구성하였으며, 공통 요인인 의기소침 척도와 0번과 5번 척도를 제외한 임상 척도 여덟 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MMPI는 청소년에게도 사용되었으나, 기존의 MMPI에서 청소년에게 부적합한 문항을 삭제 또는 수정하고 문항 수를 478문항으로 줄여서, 청소년인 MMPI-A가 1992년에 출판되었습니다. MMPI-A에서 임상 척도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나, 청소년에 특정적인 품행 문제, 소외, 의기소침, 학업 문제 등에 관한 내용 척도가 추가되었습니다.
국내에서는 1965년 정범모 등이 한국판 MMPI를 제작, 출판하였고, 1988년 한국 임상심리학회에서 규준 집단을 현대화하고 문항을 현대에 맞게 다듬은 재표준화판을 출판하였습니다. MMPI-2, MMPI-A는 2005년에 한국 표준화 연구가 수행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달심리학의 주요 문제  (0) 2022.09.25
로르샤흐 검사  (0) 2022.09.25
개별 신경심리검사  (0) 2022.09.24
지각  (0) 2022.09.22
인지학습  (0) 2022.09.22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