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24

개별 신경심리검사 주의력 연속 수행 검사 주어진 자극에 주의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인 지속력 주의와 비교적 자극을 무시하고 표적 자극에만 주의를 집중하는 선택적 주의력을 평가하는 대표적인 검사입니다. CPT에서는 컴퓨터 화면에 특정한 기호, 숫자, 문자를 짧은 시간 동안(약 0.1초) 시각적으로나 이어폰을 통해 청각적으로 제시한 후, 표적 자극이 나올 때마다 가능한 한 빠르고 정확하게 반응하는 것이 요구됩니다.(예: X가 나올 때마다 마우스 클릭), 측정치로는 정반응 수, 표적 자극에 반응하지 않은 누락 오류(omission error), 비표적 자극에 잘못 반응한 오경보 오류(commission error), 정반응 하는 데 걸린 시간과 그것의 표준편차 등이 산출되는데, 높은 누락 오류율은 부주의를, 높은 오경보 오.. 2022. 9. 24.
지각 주의와 그 기능 깨어 있을 때, 우리의 감각기관은 한시도 빼놓지 않고 제 할 일을 충실히 수행합니다. 따라서 감각기관을 통해 수집되는 순간순간의 정보는 실로 엄청나게 많습니다. 그런데도 우리가 의식하는 정보는 극히 한정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 글을 읽는 동안 여러분의 의식을 사로잡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단어와 그 앞의 내용뿐일 것이지만 바로 이 순간에도 여러분 시야에 있는 모든 것이 여러분의 망막을 자극하고 입습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시각기관으로부터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면서도 그중 극히 일부만을 의식하고 있다는 사실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 주어진 순간에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수많은 자극 중 일부에만 선별적으로 의식을 집중하는 과정을 주의 또는 주의집중이라 합니다. 이 예에서 알 수 있는 또 .. 2022. 9. 22.
인지학습 조건 형성 연구는 학습이 기계적인 학습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는 수동적이고 연합적인 과정임을 시사합니다. 무엇을 학습하는 데는 사고나 문제 해결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구구단을 암기하는 데는 이런 조건 형성 원리가 작용하지만, 복잡한 유형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고와 정신활동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자극-반응의 연합을 지배하는 조건 형성 원리로 설명되기 힘든 이런 유형의 학습을 인지 학습이라고 부릅니다. 통찰 학습 통찰이란 문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독일의 심리학자 쾰러가 침팬지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그는 우리 속에 상자들과 막대를 놓고 천정에 손이 닿지 않도록 바나나를 매달아 놓았습니다. 이때 침팬지는 포기하는 듯했지만 결국에는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냈습니다. .. 2022. 9. 22.
언어와 뇌 언어를 포함한 인간의 모든 정신활동을 주관하는 곳은 뇌입니다. 그래서 뇌손상 시 언어 행동이나 다른 인지 수행에 장애를 보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신경과학에서의 발견은 언어 습득이나 언어 처리과정을 밝혀주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좌반구 기능으로서의 언어 분리 뇌 스페리는 분리 뇌 환자를 스크린 중앙에 있는 점에 시선을 고정하게 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점의 오른쪽 또는 왼쪽에 그림이나 글자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때 왼쪽 스크린에 있는 정보가 피험자의 우반구에 전달되고 오른쪽에 나타난 정보는 좌반구에 전달됩니다. 정상인의 경우는 정보가 어느 한쪽 반구에 입력되도록 조작해도 다른 쪽 반구로 정보가 전달되어 통합적으로 정보를 처리하지만 뇌량이 절단된 분리 뇌 환자들은 정보가 입력된 곳에서만 정보를 처.. 2022.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