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인지학습

by 클릭히트 2022. 9. 22.
반응형

조건 형성 연구는 학습이 기계적인 학습 원리에 따라 이루어지는 수동적이고 연합적인 과정임을 시사합니다. 무엇을 학습하는 데는 사고나 문제 해결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구구단을 암기하는 데는 이런 조건 형성 원리가 작용하지만, 복잡한 유형의 학습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고와 정신활동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자극-반응의 연합을 지배하는 조건 형성 원리로 설명되기 힘든 이런 유형의 학습을 인지 학습이라고 부릅니다.

 

통찰 학습

통찰이란 문제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독일의 심리학자 쾰러가 침팬지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그는 우리 속에 상자들과 막대를 놓고 천정에 손이 닿지 않도록 바나나를 매달아 놓았습니다. 이때 침팬지는 포기하는 듯했지만 결국에는 올바른 해결책을 찾아냈습니다. 막대로 과일을 쳐서 떨어뜨리거나, 상자를 바나나 아래로 끌고 가서 받침대로 삼아 올라가서 바나나를 땄고 쾰러가 바나나를 점점 더 높이 매달아 놓자 침팬지들은 상자 위에 또 상자를 쌓아서 바나나를 따기까지 했습니다.
쾰러는 이러한 수행이 기계적으로 강화되거나 약화된 결과가 아니라 문제에 대한 통찰을 얻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동물들은 일단 문제가 해결되면 보통 한 수행을 계속했으며 더 이상의 실수는 드물었습니다. 
게다가 침팬지들은 한 과제에서 배운 것을 다른 과제에까지 전이시킬 수가 있었습니다. 상자와 막대를 치워 버리면 작은 사다리나 책상을 끌고 와서 받침대로 사용하거나 사람(쾰러)을 바나나 아래에 끌고 가 받침대로 사용하려고 하기도 했습니다.

 

인지도

쥐도 인지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도구적 조건 형성 연구에는 문제 상자나 스키너 상자 외에 미로가 많이 사용됩니다. 동물은 미로 속의 자극에 대해 특정하게 반응하기를 배웁니다.
예를 들면, T자형 미로에서 먹이가 항상 T자의 오른쪽 끝에 있으면 동물은 선택 지점에서 오른쪽으로 도는 반응을 학습한다는 것입니다.
효과의 법칙에 따라, 왼쪽으로 도는 반응은 강화를 받지 못하므로 약화되고 오른쪽으로 도는 반응은 강화를 받아 증강됩니다. 그러나 토만은 이것을 부정하고 동물이 미로에 대한 정신적인 지도인 인지도를 습득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길이가 다른 세 가지 길 A, B, C가 있었다. 훈련 초기에 쥐들은 미로를 탐색하면서 세 길을 다 거쳐 보다가 점차로 가장 짧은 B를 선호하고, 가장 긴 C는 거의 사용하지 않게 되었습니다.
도구적 조건 형성의 용어로 말하면 길 B로 가는 반응의 강도가 가장 강하고 길 C로 가는 반응의 강도가 가장 약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제 길 B를  차단하여 길 B뿐 아니라 길 A도 막혀 버리게 됩니다. 길 B가 차단된 후 처음 시행에서는 쥐들이 길 B로 가 다가 막혀서 목표 상자에 도달하지 못하였습니다. 만약 쥐들이 특정 반응을 학습했다면 그다음 시행에서 두 번째로 강한 반응, 즉 길 A로 가는 반응을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과반수의 쥐들이 가장 약한 반응인 길 C로 가는 반응을 하였습니다. 이것은 동물이 인지도를 획득한다는 톨만의 주장을 지지합니다.

 

 

관찰 학습

조건 형성 실험에서는 유기체가 대개 학습할 반응을 직접 수행함으로써 배웁니다.
개가 먹이를 받고 침을 흘리지 않으면 침 흘리는 반응이 학습될 수 없으며, 비둘기가 원반을 쪼는 반응을 하지 않으면 먹이가 주어지지 않으므로 원반 쪼기가 학습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모든 행동을 실제 행동을 통해 학습해야 한다면 큰 문제가 생깁니다. 
유기체가 직접 경험을 하는 대신 다른 개체들의 반응을 보고 학습하는 것을 관찰 학습 또는 대리 학습이라고 합니다. 
학습이란 단지 학교 공부만이 아니며, 유기체의 생활 전체를 지배하는 현상입니다. 대개 성격이라는 것은 타고난 특성이라 고치기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런 성격 차이는 자라오면서 서로 다른 행동을 학습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환경에서 주어 지는 강화 차이가 성격 차이를 초래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학습 심리학의 특징은 인간 행동의 원인을 성격처럼 개인 내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살아온 환경이라는 외부에서 찾는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설명 방식의 이점은 개인의 결심이나 의지에 호소함으로써가 아닌 환경을 적절히 변화시킴으로써 성격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살아가는 환경이 변화할 때 그 변화에 대처하여 행동을 변화시킬 수 없는 유기체는 생존경쟁에서 밀려나 도태됩니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라는 지금의 위치에 설 수 있게 된 이유 중 하나는 그 떤 동물보다도 뛰어난 학습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별 신경심리검사  (0) 2022.09.24
지각  (0) 2022.09.22
언어와 뇌  (0) 2022.09.22
언어 처리 과정  (0) 2022.09.22
사회적 지각  (0) 2022.09.21

댓글